메시지 브로커의 도입 배경 프로그램의 동작 방식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임의의 시점에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자신에게 설정된 신규 정책이 있는지 서버에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Polling 방식(또는 주기적인 체크가 부담스러울 경우 Long Polling 방식) / 웹 소켓 등 현재 알고 있는 통신 방식이 후보에 올랐으며, 이 외에 다른 통신 기법이 있는지 추가적인 확인을 하게 되었습니다. 자료를 찾던 도중 [메시지 브로커] 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으며, 프로젝트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기술인지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메시지 브로커 비교 (Apache Kafka vs RabbitMQ vs ActiveMQ) Apache Kafka [메시지 브로커 도입기] - Ap..